장항습지
장항습지
습지보호지역 지정일 | 2006. 4. 17 |
---|---|
위치 | 신평동 ~ 법곳동 일원 (김포대교 아래 신곡수중보 ~ 일산대교) |
습지 분류 |
조수성 숲 습지(tidal forest), 초본성 습지(Marsh), 하구갯벌 (estuarine tidal flat)이 나타나는 하구습지 기수역 상부에 위치한 담수조석습지(freshwater tidal forest) |
습지 경관 |
우점식생으로 선버들군락(Salix subfragilis), 선버들, 갯버들, 키버들, 갈대, 여뀌, 줄 등 거주민의 농업·어업을 위한 무논, 수로, 농업용 저수지, 간이선착장 등 인공적 경관요소 |
특징 |
멸종위기종 재두루미, 큰기러기의 월동지이자 중간기착지 선버들과 말똥게의 공생관계를 관찰 가능한 기수역 서울외곽순환도로 김포대교 아래 신곡수중부에서 일산대교 사이 약 7.6km, 폭 약 0.6km 구간으로, 면적은 7.49㎢[육지 2.7㎢, 수면부(갯벌) 4.79㎢] |
습지생태계
습지(濕地, wetland)란 육지의 건조한 생태계와 물의 축축한 생태계가 만나는 중간지역으로 항상 물로 차 있거나 물과 닿아 있는 환경을 말한다.
우리나라 습지보전법 제2장2조에는 「담수, 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 내륙습지와 연안습지를 말한다.」고
습지를 정의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담수, 기수, 혹은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고여 있든 흐르든 관계없이, 자연적으로나 인공적으로 생성된 늪, 습원, 이탄지 등을
말하며, 밀물 때 수심 6미터를 넘지 않는 연안을 포함한다.(Ramsar 1971)」로 규정하고 있어 우리나라 습지보전법보다 구체적이고 포괄적이다.
이러한 습지가 1900년 이후 지구상에서 50% 정도가 사라졌다는 것이 문제이다. 특히 1950년 이후부터는 습지가 사라지는 속도가 빨라져
(UNWWAP 2003) 물새를 비롯한 다양한 생물의 서식공간이 급속히 사라졌다.
습지를 보호하자는 것은 지구상에 매우 생물다양성이 높은 생태계를 보호하자는 것이며, 습지가 주는 생태계서비스를 보호하자는 의미이다.
장항습지 습지생태계에서는 버드나무와 말똥게의 공생관계를 관찰할 수 있으며, 재두루미, 저어새, 개리 등 멸종 위기종을 비롯하여 물새
약 20,000마리가 도래˙서식하고 있어 국제적으로도 보존가치가 높다.
한강하구 장항습지 조류 종목록
2014년 첫 기록종 | 2017년 첫 기록종 | 멸종위기종 | 천연기념물 | 합계 |
---|---|---|---|---|
개리, 큰고니, 큰뒷부리도요 | 검은머리흰죽지, 물까치, 물닭, 솔딱새, 휘파람새 | 개리, 노랑부리저어새, 매, 새매, 새호리기, 재두루미, 저어새, 참매, 큰고니, 큰기러기, 흑두루미, 흰꼬리수리, 흰목물떼새 | 개리, 노랑부리저어새, 매, 새매, 원앙, 재두루미, 저어새, 참매, 큰고니, 황조롱이, 흑두루미, 흰꼬리수리 | 36과 122종 |
한강하구 장항습지 주요 생물종 현황
분류군 | 식물 | 조류 | 포유류 | 어류 | 육상곤충 및 거미류 |
양서파충류 | 대형 무척추동물 |
균류 | 총계 |
---|---|---|---|---|---|---|---|---|---|
계 | 443 | 178 | 15 | 55 | 255 | 20 | 94 | 6 | 1,066 |
장항습지, EAAFP 등재(2019.05.10)
국제철새보호기구인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 East Asian-Austrasian Flyway Partnership)은 철새이동경로 상 중요 서식지를 인증하여 네트워크 지역으로 등재하고 있다.
EAAFP는 러시아, 알래스카에서 동아시아를 포함하여 호주, 뉴질랜드로 이어지는 철새이동경로에 위치한 정부, 국제기구, 국제NGO 등 36개 파트너가
참여하는 국제기구이며, 아시아 태평양지역 철새보전전략의 수립과 이행을 위해 구성되었다.
EAAFP는 철새이동경로 서식지 네트워크 FSN(Flyway Site Network)에 속하는 지구상 9개 경로 중 하나이다. EAAFP 등재기준은 이동성 물새의 서식지,
특히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대한 국제협약(람사르협약)기준과 동일하다.
장항습지는 람사르습지 등록에 앞서 EAAFP 143호 지역으로 등재되었으며 이는 이동성 물새 서식지로서의 중요성을 지닌 습지로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았음을 의미한다.
습지보호지역
장항습지는 주변의 산남습지, 시암리습지, 유도 등과 더불어 습지보전법 제8조제1항및제5항에 의해 한강하구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지정일자 : 2006년 4월 17일 [환경부고시 제2006-58호]
지정구간 : 김포대교 남단 신곡 수중보 ~ 강화군 송해면 숭뢰리 사이의 하천제방이나 철책선 안쪽
김포시 구간 신곡수중보 ~ 하성면 전류리까지 수면부 및 하천부지 제외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
습지명 | 한강하구 | 습지보전등급 | 1급 |
---|---|---|---|
평균고도 | 5m | 면적 | 60,668㎢ (약1,835만평) |
위도 | 37.769036 | 경도 | 126.6633245 |
위치 | 경기도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강화군 |
주요 습지현황
구분 | 장항 습지 | 산남 습지 | 시암리 습지 | 유도 |
---|---|---|---|---|
면적(㎢) | 2.7 | 3.1 | 2.0 | 0.3 |
길이(㎞) | 7.6 | 6.4 | 3.9 | 0.8 |
특징 | 재두루미 서식지 | 큰기러기 서식지 | 큰기러기 서식지 | 저어새 산란지 |
한강하구 습지유형
한강하구는 우리나라 유일의 큰 강 하구 기수역(Brackish water zone) 생태계이다.
기수역은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서 이루어진 중간 염도의 물이 나타나는 지역으로, 인위적인 변형을 가하지 않은 하구역에 생성된다.
우리나라 하구역의 대부분은 댐·수문 설치, 하구준설 및 상류댐 건설 등으로 자연성을 잃었지만, 장항습지는 군사시설보호구역 설정 및 민간인통제로
인해 하구둑이 없어 조수의 출입이 자유롭고, 자연적인 하구 경관과 기수역 생태계가 잘 보전되어 있다.
기수역 생태계는 담수생태계와 해양생태계가 교차하여 생물다양성이 풍부하고 자연경관이 생태적으로 우수하다.
습지유형 분류체계
국립생태원 습지센터 웹사이트 바로가기
하구에 발달하는 습지를 하구습지(estuarine wetland)라고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하구습지를 내륙습지로 분류하는데 람사르협약에서는
연안습지로 규정한다.
하구습지생태계의 특징은 낮은 염도와 얕은 수심, 높은 혼탁도, 과도한 영양분, 높은 생산성, 낮은 종 다양성 등이며 독특한 염분 환경과
이에 적응한 기수성 생물들이 서식하는 것이 다른 습지유형과 구별된다. 또한 하천과 해양, 담수와 해수와 연관되어 복잡하게 나타나는 먹이그물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군사시설보호구역
한강하구가 우리나라 4대강 중 유일하게 하구둑이 없는 자연하구인 이유는 남북한 분단상황으로 인한 것이다. 한강하구는 법적으로는 남북한이 반반씩
나누어 관리하며 정전협정상에는 공해로 설정되어 있어 유엔사령부가 관할한다. ‘한강하구수역’이라 부르며 DMZ와 마찬가지로 중립지역이다.
우리나라 국민은 1953년 이래 접근이 제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밀물이 영향을 미치는 고양시, 파주시, 김포시의 한강도 모두 이와 동일한 수준으로
군사지역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민간인통제구역이다.
장항습지 및 한강하구습지보호구역은 비무장지대 및 중립지대로 철책선을 설치하고 민간의 접근과 출입을 제한하고 있은 까닭에 장항습지의
독특한 생태계가 더욱 잘 보전되어 있다.
람사르습지 등록(2021.05.21)
-
람사르협약이란 물새서식처로서 특히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이다. 이 협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는 람사르습지(Ramsar site)로
등록할 수 있다.
장항습지는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 내 물새들의 서식지로, 재두루미, 개리, 저어새 등 멸종위기종 33종, 호사도요, 원앙 등 천연기념물 24종, 상괭이, 붉은발말똥게 등 해양보호생물 5종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재두루미, 저어새는 전 세계 개체군의 1%이상이 도래하며, 매년 3만여 마리의 물새가 도래‧서식한다.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여 고양시의 장항습지는 국내 24번째 람사르습지(No.2448 Ramsar site)로 등록되었다.
장항습지 상징(BI)
브랜드 이미지
컬러 시스템
활용
캐릭터
-
재두루미 장항습지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
멸종위기종 2급 -
붉은발말똥게 장항습지 갯벌에서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2급 -
생태계의 보고 고양시 장항습지의
대표종인 재두루미와 붉은발말똥게가
어울려 살아가는 모습
바다에서 가장 멀리 땅으로 올라올 수 있는 게는 말똥게이며 강에서 가장 멀리 바다로 내려갈 수 있는 버드나무는 선버들로, 장항습지는 이 두 생물이 만나는 곳이다.
조수성 습지에서 특히 많이 자라는 선버들 군락은 밀물과 썰물에 의해 지하부가 주기적으로 침수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버드나무 뿌리 주변에 굴을 파고
살아가는 말똥게는 버드나무의 생장을 돕는 공생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땅을 일구는 효과를 주어 뿌리가 호흡할 수 있게 도와주고, 떨어진 선버들의 잎을
먹고 분해해서 땅에 되돌려 준다.
말똥게는 물이 차오르면 선버들에 올라 쉬기도 한다. 이렇게 숲을 의지해서 피난처와 동면장소로 이용하는 모습은 세계 어느 곳에서도 쉽게 볼수 없는
모습으로 기수상부 지역 생태계인 한강하구 장항습지에서만 관찰된다. 또한 버드나무 숲은 도시 열섬화를 막아주고 많은 양의 CO2를 감소시키는
역할도 한다.
홍보영상
- 생명이 움트는 생태계의 보고, 장항습지
최종수정일 : 2021-08-05 17:09:13